회차 | 주제 | 강연자 | 날짜 |
---|---|---|---|
46 | Filipino Life In Korea | Gennie KIm (Multicultural Family Music Broadcasting) |
2018.05.12 |
45 | 노동자의 꿈 | 이들 뭉크(세종대학교 유학생) | 2017.11.04 |
44 |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의 함의와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의 방향 | 양계민(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) | 2017.09.02 |
43 | 결혼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 배우자의 배려와 삶의 자세 | 김동수 | 2017.06.03 |
42 | 키르키즈스탄에서 온 나는 이제 한국국민이다. 10년째 외국인으 로 살아온 나의 삶 | 투라에바 우르피아나 (서울시 외국인이주민대표자회의 대표) |
2017.04.01 |
41 | 범죄와 다문화가족 -수감자 자녀 및 가족 중심으로- | 이경림(아동복지실천회 세움) | 2016.11.05 |
40 | 이주민, 예술로 소통하다 -이주노동자에서 지구인 되기, 한 방글라데시 한국인의 경험담- | 이마붑(M&M international) | 2016.10.15 |
39 | 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 활동으로 보는 한국사회 이주민 문화예술활동의 가능성과 과제 | 정소희(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 대표) | 2016.09.10 |
38 | 서울시 다문화교육의 현주소 및 나아가야 할 방향 | 홍승균 장학사(서울시교육청) | 2016.07.02 |
37 | 경계넘기와 문화다양성 | 정혜실 대표(인권단체 터 네트워크) | 2016.06.11 |
36 | 다문화시대에 간문화주의와 시민 혹은 정치교육의 문제 | 최치원(고려대학교) | 2016.05.07 |
35 | 글로벌 시대, 재외동포의 의미 | 조형재(재외동포재단) | 2016.04.01 |
34 | 사회통합정책의 이해 | 박재완(법무부 이민통합과장) | 2015.09.19 |
33 |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오해 | 이채희 (광진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) | 2015.05.16 |
위원 | 교무처장 | 강황선 | 강황선 |
32 |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| 김선애(사랑정원 이사장) | 2015.04.18 |
31 | 내가 알고 있는 한국 인천화교교육 | 손승종(인천화교학교장) | 2015.03.21 |
30 | 외국인 근로자의 애로사항과 고충상담 | 프란시스카 (인천 외국인력지원센터 통역사) |
2014.12.06 |
29 | 한 화교가 바라본 한국 다문화의 과거와 현재, 바라는 미래 | 서학보 (인천 차이나타운 만다복 대표) | 2014.11.01 |
27 | 출입국관리법류의 이해 및 외국인 정책의 의미 | 황정운 (인천출입국 이민통합지원센터) | 2014.06.14 |
26 | 외국인인력지원센터 소개 및 권익침해 사례를 중심으로 본 외국인근로자의 현실 | 황인경 (인천외국인력지원센터 상담통역팀장) |
2014.05.10 |
25 | 다문화가족의 함성과 침묵 | 이송님 (인천남동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) |
2014.04.05 |
24 | 북한이탈주민의 이해 | 이승리(인천 남동구청) | 2013.12.07 |
23 | 미국의 다문화가족의 유형과 실태 | 장선주(가족상담전문가) | 2013.11.02 |
22 | 한국과 미국의 가족문화 비교 | 장선주(가족상담전문가) | 2013.10.05 |
특별기획Ⅱ | 전문가 초청 다문화강좌 | 정영태(인하대), 전경수(서울대) | 2013.06.08 |
특별기획Ⅰ | 전문가 초청 다문화강좌 | 박천응(국경없는마을), 양영자(서울교대) | 2013.06.01 |
21 | 신존재 증명과 인간의 자기인식 | 정현석(가톨릭대) | 2012.12.01 |
20 | 파동과 심신 | 임인수(창원대) | 2012.11.03 |
19 | 동북아시아를 넘나드는 사랑과 문화 파장 | 최박광(성균관대) | 2012.10.13 |
18 | 중국 한족과 조선족 문화 비교 | 김홍(건국대) | 2012.06.02 |
17 | 독일 다문화사회의 이해 | 김형민(서강대) | 2012.05.12 |
16 | ‘다문화사회 이해’와 ‘글로벌 아동교육’을 통한 건강한 사회통합 제안 | 김철수(사랑마을이주민센터) | 2012.04.07 |
15 | 말을 배운다, 문화를 안다, 인간을 만든다 | 히구치 카즈오 (일본 아마가사키시) | 2012.03.10 |
14 | 다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러시아 | 서유경(한국외대) | 2011.12.03 |
13 | 티베트 문화 이야기 | 동원군(건국대) | 2011.11.12 |
12 | 일본 대지진과 문학 | 사쿠라이 노부히데(남서울대) | 2011.10.01 |
11 | 몽골 문화이야기 | 벌로마(건국대) | 2011.06.04 |
10 | ‘재일’을 생각한다 | 양명심(건국대) | 2011.05.07 |
9 | 한국 다문화 어떻게 볼 것인가 | 홍선옥(광진구청) | 2011.04.02 |
8 |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교육 | 김주연(건국대) | 2010.12.04 |
7 | 한일 동시통역의 세계 | 박미정(한국외대) | 2010.11.06 |
6 | 중국 음식 문화 기행 | 정정첨(건국대) | 2010.10.02 |
5 | A&D시민문화강좌:러시아 예술 기행 | 김아사(건국대) | 2010.09.04 |
4 | A&D시민문화강좌:한국문화산책 | 김영희(건국대) | 2010.06.26 |
3 | A&D시민문화강좌:일본문화산책 | 김보애(건국대) | 2010.05.29 |
2 | A&D시민문화강좌:중국문화산책 | 염송심(북화대) | 2010.04.24 |
1 | A&D시민문화강좌:러시아문화산책 | 전병국(건국대) | 2010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