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차 | 발표제목 | 발표자 | 날짜 |
---|---|---|---|
57 | 다문화주의와 영화 | 이형식(건국대학교) | 2018.06.16 |
56 | 모빌리티, 미디어 그리고 공간연구 | 김수철(한양대학교) | 2018.04.14 |
특별 기획 |
Second International Colloquium o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| Maria Luisa T. Reyes, etc. | 2017.06.27 |
55 |
비판적 포스트 휴머니즘
-근대적 인간개념 해체와 하이브리드적 주체성
|
윤지영(건국대학교) | 2017.05.13 |
특별 기획 |
미래인재, 미래교육 | 김화진(건국대학교) | 2017.04.10 |
54 | 디아스포라의 디아스포라 | 최영석(연세대학교) | 2017.03.04 |
53 | 북한주민의 일상과 방법으로서의 마음 | 김성경(북한대학원대학교) | 2016.03.05 |
52 | 이성과 반이성 -문자를 중심으로- | 김석(건국대학교) | 2015.12.19 |
51 |
포로란 누구인가: ‘갱생’의 문법과 ‘증언’의 가능성
-한국전쟁 포로들의 UN군 관리 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-
|
장세진(한림대학교) | 2015.11.21 |
50 | 미셸 푸코: 헤테로토피아, 또는 분산(dispersion)의 사유 | 허경(대안인문학연구소) | 2015.09.19 |
49 | 문화혼종성의 이론적 고찰 | 박민수(한국해양대) | 2015.06.20 |
48 | 레 민 퀘의 「작은 비극」에 나타난 ‘양각’과 ‘음각’ 읽기 | 김인숙(가천대) | 2015.05.16 |
47 | ‘여가’ 투쟁과 온천의 경계 | 이진형(건국대) | 2015.04.18 |
46 | 오오카 쇼헤이의 ‘전후’ 의식 | 우연희(건국대) | 2015.03.21 |
45 | 의사소통 매체와 말하기 | 김은하(건국대) | 2014.11.20 |
44 | 이주노동자의 주체화와 심의민주주의 전략 | 심승우(성균관대) | 2014.10.16 |
43 |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·형성과 특징 | 김혜진(한국외대) | 2014.09.18 |
42 | 셰익스피어의 『로미오와 줄리엣』 무대기법 | 이보라(한성대) | 2014.06.19 |
41 | 일본어 교과서에는 ‘남녀’표상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| 이은주(건국대) | 2014.05.15 |
40 |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과 하버마스의 비판이론 | 김동현(건국대) | 2014.04.17 |
39 | ‘경계’를 횡단하는 엔도 슈사쿠 문학 | 안영신(건국대) | 2014.03.20 |
38 | 민중문예종합지로서의 재일문예 『민도』연구 | 양명심(건국대) | 2013.12.19 |
37 | <韓非子> ‘利’의 공공성과 ‘법’의 형평성 | 윤석민(건국대) | 2013.10.17 |
36 | 국제적인 관계 속에서 본 노동이주 | 나혜심(성균관대) | 2013.06.20 |
35 | 통독 이후 동독 디아스포라의 운명 | 이기식(고려대) | 2013.05.16 |
34 | 독일 통일과 다문화 사회 | 최윤영(서울대) | 2013.04.18 |
33 | 묵독과 해석에 관한 연구 | 김용현(건국대) | 2013.03.21 |
32 | 가네시로 가즈키의 『GO』론 | 이승진(가톨릭대) | 2012.11.05 |
31 | 디아스포라의 도전, 가네시로 가즈키 | 박수미(성균관대) | 2012.10.18 |
30 | 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번역자의 가시성 | 박미정(한국외국어대) | 2012.09.30 |
29 | 노자 42장 ‘道生一’의 이해와 변용 | 이진용(건국대) | 2012.06.21 |
28 | 메이지 일본에서 쇼펜하우어 철학과 장타이옌의 무(無) | 김영진(동국대) | 2012.05.17 |
27 | 식민지시대 일본 유학파에 씌워진 ‘인격’의 페르소나 | 정연욱(목포대) | 2012.04.19 |
26 | 문화 간극과 번역 | 서유경(한국외대) | 2012.03.15 |
25 | ‘華語電影’감독 리안의 디아스포라 서사 | 진성희(경희대) | 2011.11.17 |
24 | 명명과 지배-호텔제국주의에 대해 | 윤상인(한양대) | 2011.10.20 |
23 | 러시안 디아스포라와 국가정책 | 전병국(건국대) | 2011.09.15 |
22 | [<여행서>를 떠도는 제국]에 대하여 | 서기재(건국대) | 2011.06.16 |
21 | 도가 소통과 조화에 대한 이해 | 이진용(건국대) | 2011.05.19 |
20 | ‘비인(非人)’의 땅, 후기 식민지로부터의 단상 | 황호덕(성균관대) | 2011.04.21 |
19 | 일본 근대소설과 이동, 교류의 글쓰기 | 김주영(건국대) | 2011.03.17 |
18 | 고대 한·일 간의 디아스포라 | 송완범(고려대) | 2010.12.16 |
17 | 잊혀진 일본인 디아스포라 | 박유하(세종대) | 2010.11.18 |
16 | 동아시아 사상사 속의 디아스포라 | 최재목(영남대) | 2010.10.21 |
15 |
17세기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황에 대한 인식
|
최원오(고려대) | 2010.09.17 |
14 | 아버지의 세 가지 층위와 착종된 자의식 | 윤송아(경희대) | 2010.07.16 |
13 | 식민지 시기 경성에서의 ‘취미’ | 신승모(동국대) | 2010.06.25 |
12 | ’철’이 본’신경’과 동아신질서 | 유수정(고려대) | 2010.05.28 |
특별 기획 |
아시아·디아스포라연구소 특별기획 좌담회 | 이한정(동국대) 서동주(서울대) 강우원용(한양대) 전성곤(고려대) |
2010.04.23 |
11 | 현대 러시아 사회 운동 현황 | 정재원(서울대) | 2010.03.19 |
10 | 디아스포라와 <문학>, 그리고 ‘탈’아시아 | 전성곤(고려대) | 2010.02.19 |
9 | 디아스포라문학과 마이너리티 | 강우원용(한양대) | 2010.01.15 |
8 | 제국과 디아스포라 | 서동주(서울대) | 2009.12.18 |
7 | 번역과 문화 이동 | 이한정(동국대) | 2009.12.04 |
6 | 이광수가 무정을 썼을 무렵의 일본 상황 | 하타노세츠코 (新潟女子短期大学) |
2009.07.17 |
5 |
중앙아시아 지역사회의 젠더적 규범과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동질성과 차이성
|
정재원(서울대) | 2009.06.12 |
4 | 국가-지역의 통합과 배제 | 염미경(제주대) | 2009.05.29 |
3 | 조선족과 한족의 차이성과 지역문화 | 이은화(건국대 방문연구원) | 2009.05.22 |
2 | ‘재일’ 디아스포라 문학의 재조명 | 김환기(동국대) | 2009.05.08 |
1 | 중국 근현대문학사 담론과 타자화의 정치학 | 임춘성(목포대) | 2009.04.10 |